울산 지역 일자리문제와 평생교육
이승진 l 회원
지역경제가 심상치 않다는 이야기가 계속 터져 나온다. 석유화학과 자동차, 조선업계가 망라되어 있어 산업도시라 불리는 울산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용사정이 낫지 않겠느냐는 기대가 있지만 수치는 정반대로 나타났다. 동남지방통계청이 지난 2월에 발표한 ‘2015년 1월 동남권 고용동향'에 따르면 울산지역 취업자는 전년도 같은 달에 비해 7천명이 감소했고, 실업자는 1만5천명으로 3천명(28.6%)이 증가했다. 실업률은 2.8%로 0.6포인트 상승했다.
더 큰 문제는 울산 대졸자의 62%가 취업을 위해 타지로 나간다는 사실이다. 울산발전연구원에 따르면 대학 소재지와 같은 지역에 취업한 졸업생 비율을 조사한 결과, 울산의 종합대 졸업생 지역 잔존율이 38.3%로 전국평균 58%보다 훨씬 낮게 나타났다. 전문대학 졸업생 지역 잔존율 역시 52.8%로 전국평균 68.4%에 미치지 못했다. 반면 울산으로 전입하는 청년인구(25~29세)는 2008년부터 매년 줄고 있어 울산 지역경제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2020년까지 베이비부머 세대 만 명이 은퇴한다는 전망까지 더하면 울산은 양극단 모두 위기다.
지자체마다 취업/창업박람회를 열어 일자리를 연결해주려 하지만 기업의 요구 조건과 구직자의 욕구가 일치하지 않는 ‘미스매치’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일자리라는 것이 큰 틀에서는 경기부양과 산업정책의 문제이지만 그래도 인력을 찾는 중소기업과 일자리를 찾는 구직자들은 분명히 존재한다. 그렇다면 지자체 차원에서는 이 문제를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여기 주목할 만한 조사결과가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구직자의 97.5%가 학벌과 어학연수, 각종 자격증 등 본인의 스펙이 취업에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정작 기업의 84.5%는 스펙보다 인성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상사와 동료들과의 관계, 미래 비전 확립을 위한 인문학적 가치관을 눈여겨보는 것이다. 일자리 문제는 이미 주민복지의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았지만 각 지자체는 직접 일자리를 만들거나 소개하기 보다는 지역사회 자원을 연결하는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한다. 이때 등장하는 주인공이 바로 ‘평생교육’이다.
서울 서대문구의 실직자 재취업 교육 인프라 구축 정책의 경우, 관련 지식과 기술은 기업 요구에 맞춰 전문계 학교 등에 설치된 기자재를 활용해서 훈련을 시키고, 취업관련 정보는 지역 도서관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서 제공한다. 여기까지는 다른 지자체와 대학교 등에서도 실시하고 있다. 핵심은 이제부터다. 여기에 ‘평생교육센터’를 연계해서 ‘직업인의 마인드와 태도 교육’을 병행하는 것이다. 영국과 독일, 덴마크, 호주, 미국, 일본 등 통상 선진국이라고 일컬어지는 나라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일자리 정책에 평생교육 분야를 적극적으로 접목해왔다.
이제 우리나라도 직업훈련에 있어 지식과 기술 교육만 실행할 것이 아니라 인문학적 교양과정을 어떻게 매치할 것인지 고민해야 할 때가 왔다. 지자체는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다. 현재 울산 북구청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건의를 받아들여 올해부터 4년간 추진해야 할 지역사회복지계획 안에 ‘고용-복지-평생교육 연계’를 핵심과제로 설정했다.
구청이 일자리 정책에 있어 어떻게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할지, 지역사회 자원이 상호 협동하는 인프라를 엮어낼지 고민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필자 역시 이 과제를 적극적으로 제안한 사람으로서 효과적인 정책과 모델들을 연구하고 현장에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나갈 계획이다. 이 자리를 빌어서 지역사회 관련 전문가와 현장 활동가들의 응답을 요청한다.
※ 글을 쓰신 이승진 회원은 현재 울산시민연대 시민참여 팀장 이십니다.
|